카테고리 없음

평가 및 사후관리를 알아볼자

THE NEW ORDER 2015. 9. 8. 18:22

물론 여기서 말하는 서비스 교육은 인적 서비스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이다. 사람을 중심으로 사람이 행하는 서비스의 중요성과 방법,


해결책을 제시하며 나아가 조직의 서비스 역량을 높이는 서비스 교육은


한국적이며 한국만의 경쟁력이다. 국내에서 서비스강사라는 


직업은 매너 혹은 에티켓, 예절 등과 관련하여 일반 대중에게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세히 소개되어 있지는 않다. 교직으로 분류되는 전문직으로만 


알려져 있는데 이 직업을 어떻게 수행하고 어떻게 입무하는지에


대해서 알려져 있지 않다. 활동범위가 생각보다 다양하고 입문계기가


여러 경로여서 그러하며 특별히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더욱 그러하다.


서비스강사는 서비스 교육과정을 기획, 개발, 운영, 평가하며 구성원의 







서비스 인식 및 태도 능력개발과 종합적 서비스 역량을 제고함으로써 


경영 환경하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교육적 자문과 지원을 


수행하는 역할이다. 서비스강사는 주로 산업현장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다.


그 근무 형태는 기업에 고용되어 있거나 고용되지 않은 프리랜서로서 자유롭게


활동하는 2가지 형태다.


기업에 고용되어 있는 서비스강사를 일반적으로 사내강사라고 한다. 말 그대로 


회사 내부에 속해있기 때문에 사내강사라고 부른다. 이들 사내강사는 속한 조직의 


서비스역량을 제고하는 역할에 치중하고, 프리랜서 강사는 사내강사 직무에서 


교육시장분석, 교육마케팅, 일반 관리 등의 일부 업무가 추가된다.


이른바 서비스아카데미라고 부르는 서비스전문교육기관의 강사들은


교육대상이 소속사와 외부 일반사를 동시에 해당되므로 사내강사 기능을 






가지고 간다. 이외에도 외부사설교육기관에서 상근하는 전임강사와 이러한 사설 


교육기관들과 함꼐 활동하는 프리랜서 및 파트너 강사도 있다.


해당 고용 형태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겠으나 서비스강사의 업무를 구분하면 크게 


5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1.교육기획


교육기획 단계는 교육의 초기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교육시강


분석, 교육사업 전략수립, 교육 연간 사업 계획 수립, 마케팅, 홍보, 교육사업성과


분석 등이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