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면 코치 자신과 직원,조직을 이해하고 최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업무 환경을 만들기 위해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남의 말을 경청하고
독선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아야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도 깨닫는다.
개벙적인 질문
경청 기술을 향상시키려면 매우 중요한, 또 다른 언어적 도구가 필요하다.
코치의 관점과 견해가 진원과 일치해야 돈독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데,
코치가 패러프레이즈뿐 아니라 질문을 이용한다면 경청하는 자세를 잃지
않을 것이다. 상대를 꼼짝 못하게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요점을
분명히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방식으로 질문한다.
질문은 폐쇄적인 질문과 개방적인 질문으로 구분된다.
코치는 어떤 질문을 많이 해야 할까? 물론 개방적인 질문이다.
폐쇄적인 질문은 명확하고 간단한 답변만을 요구한다,
이런 질문에는 자세한 답변이 필요하지 않다. 한두 단어로 답할 수 있다.
폐쇄적인 질문에는 명확하고 간단한 답변이 어울린다. 하지만 이런 질문으로는
대화를 이끌 수 없다. 반면 개방적인 질문은 코치가 매우 강력한 무기이다.
이런 현태의 질문은 깊이 생각해서 답변해야 하고, 정답이다 오답이 없으며,
직원이 더 많은 이야기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방적인
질문을 통해 코치는 진정한 경청 기술을 연마할 수 있다. 이를테면
코치는 애매한 점에 대해 질문하거나 의견 및 제안 혹은 좀더 구체적으로 표현해 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 다음은 개방적인 질문의 몇 가지 예이다.
'enseñanza religios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드백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직원 대처하는 법 (0) | 2015.08.26 |
---|---|
직원이 실수를 저지르면 (0) | 2015.08.25 |
직원은 훌륭한 내적자원이다. (0) | 2015.08.24 |
동기부여란 영감을 불어넣는 일이 중요하다 (0) | 2015.08.24 |
구체적인 멘토링 기술 (0) | 2015.08.21 |